목록분류 전체보기 (27)
http://docs.spring.io/spring/docs/3.0.x/spring-framework-reference/html/mvc.html
http://saurus2.tistory.com/entry/Java-Spring-%EC%96%B4%EB%96%BB%EA%B2%8C-%EB%8F%99%EC%9E%91-%ED%95%98%EC%A7%80-Hello-World-%EC%9D%98-%EC%9B%90%EB%A6%AC http://egloos.zum.com/pelican7/v/2586302 생활코딩 : https://opentutorials.org/course/697/3828
추상클래스를 구현하여 총 5개의 HandelrMapping이 구현되어 있음 1. SimpleUrlHandlerMapping- URL과 Controller을 직접 맵핑 2. BeanNameUrlHandlerMapping- URL과 Bean이름을 가지고 Controller 맵핑 3. ControllerBeanNameHandlerMapping- Bean의 아이디나 이름을 이용해 맵핑 4. ControllerClassNameHandlerMapping- URL과 Controller 명을 일정한 규칙으로 맵핑 5. DefaultAnnotaitonHandlerMapping- @RequestMapping 어노테이션을 이용하여 요청을 처리할 컨트롤러를 구현 출처 : http://mungchung.com/xe/spring..
객체의 구성요소- 객체는 속성과 기능의 집합이며, 속성과 기능을 객체의 멤버라고 한다.- 속성(Property) : 멤버변수(member variable), 특성(attribute), 필드(field), 상태(state)- 기능(function) : 메서드(method), 행위(behavior), 함수(function) 인스턴스의 생성- 클래스명 참조변수명 = new 클래스명();- 클래스의 객체를 참조하기 위한 참조변수를 선언하고 객체를 생성 후, 객체의 주소를 참조변수에 저장한다.- 인스턴스 초기화 : 인스턴스 변수에 적절한 값을 저장하는 것이다. 생성자(Constructor)- 클래스이름(타입 변수명, 타입 변수명) { // 인스턴스 생성시 수행될 코드 }- 인스턴스가 생성될 때마다 호출되는 '인스..
String contextPath = request.getContextPath(); → /Model, ContextPath : 실행되는 기본 폴더 위치String url = request.getRequestURI(); → url 주소String command = url.substring(contextPath.length()); → substring 문자열 자를때 (/Model 을 자르고 url만 입력하겠다) if(command.equals("/Controller/~Servlet.do")){ → equals : 지금 들어오는, 현재 실행하는 경로 ListServlet ls = new ListServlet();ls.doGet(request, response);this.view = "/model2/member..
response.sendRedirect(); - 페이지 단위 이동- 웹브라우저가 인식하고 새로운 페이지를 만들고 값만 넘겨 이동- 공유x, 새로운 값을 넘겨줘야함- 새로운 페이지로 넘겨주는 데이터 이동, 값넘기기 등에 사용 forward();- 웹브라우저가 인식하지 못하고 브라우저가 페이지를 이동하지 않음- 브라우저는 그대로, 안의 내용만 이동/공유- 내부적 공유가 되기 때문에 파라미터를 넘기지 않음- 조회 등 공유하는 부분에 사용- RequestDispatcher : 저장하고 공유하는 클래스
GET방식 : url에 노출된 형식으로 서버로 전송 데이터양에 한계가 있고 (255자) 넘으면 절단 된다.주소창에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여 서버로 전송된다(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의 각 이름과 값을 &로 결합된 형태로 전달)데이터를 쿼리 스트링의 일부로써 전달한다.변수가 없거나 변수 전달 쿼리 스트링(Query String)사용자가 웹프로그램으로 입력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 중 가장 단순하고 또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.URL 주소 뒤에 입력데이터를 함께 제공하는 방법 (리소스 ? 인자 = 값의 형식) POST방식 : http 헤더에 숨겨진 형식으로 서버로 전송 ( form 태그를 이용 ) 데이터의 길이에 제약이 없고 보안이 강하다.FORM 태그 내에서 각 선택사항을 action의 경로로 전달.입력상자나 버튼..